본문 바로가기
Business/사업하기

Limited Partner(LP)와 General Partner(GP)란?

by UG0 2025. 3. 15.

TL;DR

Limited Partner(LP)와 General Partner(GP)는 펀드(특히 벤처캐피털 및 사모펀드)의 투자 구조에서 중요한 두 가지 역할이다.

  • LP(유한책임파트너): 자금을 투자하지만, 경영에는 관여하지 않는 투자자
  • GP(무한책임파트너): 펀드를 운영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관리자

즉, LP는 돈을 대는 사람, GP는 투자를 집행하는 사람이라고 이해하면 쉽다.


 

1. Limited Partner(LP)란?

**LP(유한책임파트너, Limited Partner)**는 펀드에 자금을 투자하지만, 직접적인 운용에는 관여하지 않는 투자자를 의미한다.

🔹 LP의 특징

책임 제한: 투자한 금액만큼만 책임을 지며, 추가적인 법적 책임은 없음
투자 의사결정 X: 펀드 운용(GP의 결정)에 개입하지 않음
배당 수익 수취: 펀드의 성과에 따라 수익을 받음

🔹 LP의 대표적인 투자자

  • 연기금 (국민연금, 교직원공제회 등)
  • 대기업 (네이버, 삼성 등)
  • 금융기관 (은행, 보험사, 증권사 등)
  • 부유한 개인 투자자 (HNWIs, Family Office)

💡 LP는 ‘큰손 투자자’로서 자금을 제공하지만, 투자 운용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2. General Partner(GP)란?

**GP(무한책임파트너, General Partner)**는 펀드를 운용하며, 투자 결정을 내리는 관리자다.

🔹 GP의 특징

책임 무한: 투자 성과에 따라 법적·재정적 책임을 질 수도 있음
투자 운용 담당: 투자 기업 선정, 자금 집행, 펀드 관리 수행
성과 수수료(Carry) 수취: 투자 수익의 일정 비율(예: 20%)을 성과보수로 받음

🔹 GP의 주요 역할

1️⃣ 투자 기업 선정 및 관리 🏢
2️⃣ LP 모집 및 펀드 조성 💰
3️⃣ 투자 회수(Exit) 전략 수립 🚀
4️⃣ 리스크 관리 및 성과 보고 📈

🔹 GP의 대표적인 기관

  • 벤처캐피털(VC, Venture Capital)
  • 사모펀드(PE, Private Equity)
  • 헤지펀드(Hedge Fund)

💡 GP는 ‘투자 전문가’로서 펀드를 운용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역할을 한다.


 

3. LP와 GP의 차이점 정리

구분LP (유한책임파트너)GP (무한책임파트너)

역할 자금 투자자 펀드 운용 및 투자 결정
책임 범위 투자 금액 한도 내 무한 책임
수익 구조 투자 수익에 따른 배당 운용 보수 + 성과 수수료 (Carry)
운영 개입 여부 개입 X 적극적인 투자 운용
대표적 기관 연기금, 대기업, 금융기관 벤처캐피털, 사모펀드

💡 쉽게 말해, LP는 ‘돈을 맡기는 사람’, GP는 ‘그 돈을 굴리는 사람’이다.


 

4. LP & GP 구조 예시 (벤처캐피털 펀드)

📌 벤처캐피털(VC) 펀드 구조

1️⃣ LP (Limited Partner, 유한책임파트너)

  • 국민연금, 은행, 대기업 등이 펀드에 투자

2️⃣ GP (General Partner, 무한책임파트너)

  • 벤처캐피털(VC)이 펀드를 운용
  • 스타트업에 투자 및 관리
  • 성공적인 투자 회수(Exit) 시 LP에게 수익 배분

3️⃣ 스타트업 (투자 대상 기업)

  • GP가 투자한 기업들
  • 성장 후 IPO(상장) 또는 인수합병(M&A)으로 Exit

💡 GP는 LP의 돈을 받아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성장한 기업을 Exit(회수)하여 수익을 LP와 공유한다.


 

5. LP와 GP의 관계: 수익 구조 분석

GP는 단순히 펀드를 운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보수를 받는다.

🔹 GP의 주요 수익 모델

1️⃣ 관리보수(Management Fee) → 연간 1~2%

  • LP들이 맡긴 자금(AUM, 운용자산)의 일정 비율을 받음
  • 예: 1,000억 원 펀드에서 2% 관리보수 = 연 20억 원

2️⃣ 성과보수(Carry, Carried Interest) → 수익의 20%

  • 투자 성과에 따라 일정 비율을 GP가 수익으로 가져감
  • 예: 펀드가 500억 원 이익을 냈다면 GP가 100억 원(20%)을 가져감

💡 GP는 ‘관리보수(고정 수익) + 성과보수(변동 수익)’ 구조로 돈을 번다.


 

6. 결론: LP & GP의 역할 정리

LP(Limited Partner): 돈을 투자하지만, 펀드 운영에는 관여하지 않는 투자자
GP(General Partner): 펀드를 운영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관리자

LP는 자금을 제공하고 GP는 이를 운용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다.
GP는 관리보수와 성과보수를 통해 수익을 얻으며, LP는 투자한 자본에 따른 배당을 받는다.

💡 결국, LP와 GP는 ‘투자 생태계의 필수적인 두 축’이다.


 

📌 자주 묻는 질문(FAQ)

1. 개인 투자자도 LP가 될 수 있나요?

네, 하지만 일반적으로 LP는 연기금, 대기업, 금융기관 등 대형 투자자가 많다. 일부 펀드는 부유한 개인 투자자(HNWI, Family Office) 에게도 LP 기회를 제공한다.

2. GP는 돈을 직접 투자하나요?

일반적으로 GP는 자신의 자본을 일부 투자하지만, 주된 역할은 LP의 자금을 운용하는 것이다.

3. GP가 투자 실패하면 어떻게 되나요?

GP는 무한 책임을 지므로, 투자 실패 시 신뢰를 잃고 추가 펀딩이 어려워질 수 있다. 하지만 법적 책임은 일반적으로 LP가 부담하지 않는다.

👉 LP는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고, GP는 적극적으로 투자를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