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업일기4

컨텐츠 제공자(인플루언서)의 종류 규모에 따른 분류인플루언서의 규모에 따라 다음처럼 나눌 수 있다. 1. 연예인  말그대로 배우, 스포츠 스타, 정치인 등이 속한다.굉장히 많은 팬들이 있으며, 포스트 하나가 큰 영향력을 가진다.연예인들은 소셜미디어 뿐만 아니라 TV나 영화, 음악 등 다양한 매체에서 활동한다.팬들과의 거리가 멀어, 직접적인 소통을 하기 어렵다.   2. 거대 인플루언서   많은 팔로워를 보유한 개인이다.소셜미디어에서의 활동이 주력이며, 다양한 플랫폼에서 활동한다.소수를 제외하고 연예인 만큼 인지도가 있진 않지만, 패션, 뷰티, 여행 등 특정 산업 분야에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컨텐츠 품질이 비교적 높다. 3. 소형 인플루언서   1,000~10만 수준의 팔로워를 보유한다.개인적인 경험과 일상에 대한 주제 등 틈새 시장.. 2025. 1. 17.
뭐가 됐든 짧게 반복하자. MSCHF : Nothing Is Sacred 작년 1월, 대림 미술관에는 MSCHF: NOTHING IS SACRED라 재밌는 전시를 했다. MSCHF는 관습을 깨는 많은 작품들을 발매하는, 조금은 괴짜 같은 팀이다. 한때 유행했던 아톰 슈즈부터 실제로 사람 피를 섞은 물을 넣은 “사탄 슈즈”, 그와 반대로 성수를 걷는다는 의미로 실제 요르단 강의 물을 넣은 “지저스 슈즈”를 판매했다. 상상력이 뛰어난 이 팀의 더 놀라운 점은 제품들을 2주 주기로 세상에 내놓는 것이다.아마 “주목 경제”시대에서 영향력과 인기를 얻는 방법을 잘 아는 것 같다.MSCHF의 멤버 Kevin은 "Athletic Aesthetics"라는 아티클을 인용하여 팀의 철학을 설명했다.  컨텐츠를 짧은 주기로 꾸준히 내면서 예술을 완성.. 2025. 1. 17.
주목 경제는 제작자가 니즈를 찾는 게임 주목 경제는 롱테일앞으로의 주목 경제 시장은 소수의 대형 콘텐츠나 상품 못지않게, 다양하고 니치(niche)한 콘텐츠가 누적되어 큰 영향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2010년대까지는 상위 20%가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했다.대부분의 청소년 들은 노스페이스 패딩을 입고, 나이키 덩크를 신으며, TV에선 1박 2일과 무한도전을 시청했다.하지만 인터넷 쇼핑몰과 유튜브, 틱톡 같은 플랫폼들이 등장하면서 수요가 빠르게 분산되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더욱 개성과 취향에 맞는 상품과 콘텐츠를 찾아 나섰다.콘텐츠 시장도 마찬가지다. MBC, KBS, SBS가 일방적으로 지배하던 시대는 이미 저물었다. 시청자들의 니즈는 작은 단위로 세분화되었고, 콘텐츠 공급자 역시 이에 맞춰 변화하고 있다. 과거에는 전 국민의 사랑을 받는 .. 2025. 1. 17.
컨텐츠가 재화가 된 세상 재주는 곰이, 돈은 소속사가 버는 시장전통 컨텐츠 시장에서의 공식은 간단했습니다. 끼있는 사람들을 발굴하고, 그들을 키워 스타로 만들면, 제작사가 돈을 벌었죠. 당연한 공식이었습니다. 스타로 만드는 부분이 굉장히 어렵고, 많은 자본이 필요하며, 시간도 들기 때문이죠. 즉, 개천에서 용나기 위해서는 조력자가 당연히 필요했습니다. 재주는 곰이, 돈은 플랫폼이 버는 시장인스타그램과 틱톡의 부상으로 공식이 조금 바뀌었습니다. 이번에는 소속사가 아니라, 컨텐츠를 중계해주는 플랫폼에서 쓸어갔죠. 인플루언서들이 얻는 부는 그들의 성과에 적은 부분입니다. 하지만 이 공식도 당연합니다. 플랫폼이 있어야 인플루언서가 있기 때문이죠. 내가 직접 홈페이지를 만들어서 영상을 올린다면 아무도 보지 않게 되겠죠. 제작사와 플랫폼의.. 2024. 1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