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ology144 LLM이란? LLM이란? 인공지능 시대의 핵심 기술요즘 인공지능(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LLM"이라는 단어를 자주 접하게 된다. 하지만 LLM이 정확히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이번 글에서는 LLM의 개념, 동작 원리, 그리고 실생활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알아보자. LLM이란 무엇인가?LLM(Large Language Model)은 한국어로 "대규모 언어 모델"을 의미한다. 이는 방대한 양의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인간처럼 자연스러운 언어를 이해하고 생성하는 AI 모델을 가리킨다. 대표적인 예로는 OpenAI의 ChatGPT, Google의 Gemini, Meta의 LLaMA 등이 있다.LLM은 단순한 챗봇이 아니다. 문장을 이해하고 생성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문.. 2025. 3. 14. 오프체인(Off Chain)이란? 1. 오프체인의 개념오프체인(off-chain)은 블록체인 외부에서 거래를 처리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즉, 모든 거래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지 않고 별도의 시스템에서 수행한 후, 최종 결과만 블록체인에 반영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속도를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 오프체인의 필요성블록체인은 보안성과 투명성이 뛰어나지만, 처리 속도가 느리고 수수료(가스비)가 높다. 특히 이더리움과 같은 퍼블릭 블록체인은 네트워크 혼잡이 발생할 경우 비용이 급증할 수 있다. 오프체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3. 오프체인의 작동 방식오프체인은 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현된다.상호 간 신뢰 방식: 두 당사자가 서로 신뢰하고 거래를 기록한 후, 나중에 이를 블록체인에 반영한다.결제 채널(P.. 2025. 3. 10. AI와의 대화 방식이 결과를 바꾼다 AI와의 상호작용 방식이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아는가? Junaid Khalid는 최근 DeepSeek을 활용한 개발자들의 경험을 분석하며, 단순한 입력 방식의 변화가 AI 활용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킨다는 점을 강조했다. 타이핑보다 말하기가 더 효과적이었다한 개발자가 React 컴포넌트의 버그를 해결하기 위해 DeepSeek과 3시간 동안 씨름했다. 완벽한 프롬프트를 입력하고 수정했지만, 원하는 답을 얻지 못했다. 결국, 키보드를 내려놓고 스마트폰을 집어 들어 AI에게 직접 말했다.놀랍게도, 문제 해결까지 걸린 시간은 단 2분이었다.이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Khalid는 타이핑과 말하기 방식의 차이를 연구했다.타이핑할 때, 우리는 AI를 상사에게 보고하듯이 지나치게 형식을 갖춰 입력한다.반면.. 2025. 3. 9. 샤딩(Dharding)이란? 1. 샤딩의 개념샤딩(Sharding)은 블록체인의 확장성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를 여러 개의 작은 조각(샤드)으로 나누어 저장하는 기술이다. 각 샤드는 독립적으로 거래를 처리하고, 전체 네트워크의 부담을 줄인다. 2. 샤딩의 필요성블록체인은 네트워크 참여자가 많아질수록 처리 속도가 느려지고 수수료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더리움 같은 퍼블릭 블록체인은 트랜잭션이 몰릴 경우 병목현상이 발생한다. 샤딩을 사용하면 노드마다 데이터 저장과 검증을 분산시켜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3. 샤딩의 작동 방식샤딩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샤드로 나누고, 각 샤드가 개별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트랜잭션을 처리한다. 샤드들은 서로 정보를 주고받으며, 전체 네트워크의 일관성을 유지한다.샤딩의 구성 요소네트워크.. 2025. 3. 8. 오라클(Oracle)이란? 1. 오라클의 개념오라클(Oracle)은 블록체인 외부의 데이터를 스마트 컨트랙트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블록체인은 자체적으로 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오라클을 통해 날씨, 환율, 스포츠 경기 결과 등 다양한 데이터를 가져와 활용한다. 2. 오라클의 필요성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 내부 정보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현실 세계의 데이터를 활용하려면 외부 정보를 가져와야 한다. 예를 들어, 보험 계약에서 기상 데이터를 사용하거나, 스포츠 베팅 플랫폼에서 경기 결과를 확인할 때 오라클이 필요하다. 3. 오라클의 작동 방식오라클은 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소프트웨어 오라클: 웹 API, 데이터베이스 등에서 정보를 수집한다.하드웨어 오라클: 센서나 IoT 기기를 통해 데이터를 가져온다.. 2025. 3. 7. 블록체인에서 사이드 체인이란? 1. 개요사이드 체인(Side Chain)은 메인 블록체인과 연결된 별도의 블록체인이다. 메인 체인의 부담을 줄이고, 확장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2. 사이드 체인의 특징① 메인 체인과의 독립성사이드 체인은 메인 블록체인과 연결되어 있지만,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실험하고,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② 양방향 페그(2-Way Peg) 기술양방향 페그는 사용자가 메인 체인의 자산을 사이드 체인으로 전송하고, 다시 되돌릴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두 체인 간의 자산 이동이 자유롭다.③ 확장성 개선메인 블록체인의 트랜잭션 처리 속도가 제한적인 반면, 사이드 체인은 별도로 운영되어 더 빠른 거래 처리가 가능하다. 이는 블록체인의 확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④.. 2025. 3. 7. 비트코인 스테이킹 : 2,100만 개의 비트코인을 활용해지분증명 경제를 강화하다 본 글은 DSRV의 Babylon BTC 스테이킹 문서 번역 본을 참고하였습니다.지분증명(PoS)체인은 자본에 의해 보안이 유지되므로 비용이 비쌉니다. 즉, PoS 체인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절대적인 자본이 필요하죠.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로, 비트코인 자본력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비트코인은 6,000억 달러 규모이며, 대부분 유휴 상태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작업증명(PoW)인 비트코인을 어떻게 지분증명 체인으로 가져와서 스테이킹 할지에 대해 Babylon은 해결책을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연구에서는 비트코인 스테이킹을 통해, PoS체인 보안을 강화하고,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특히, BTC를 PoS체인으로 브릿징(Bridging)하지 않고도 신뢰할 수 있게 스테이킹할 수 .. 2025. 3. 7. 모듈형 블록체인(Modular Blockchain)이란? 블록체인 구조는 일체형(모놀리틱)블록체인과 모듈형 블록체인이 있습니다. 일체형 블록체인은 하나의 블록체인이 모든 작업을 처리합니다. 반대로 모듈러 블록체인은 하나의 블록체인에서 모든 것을 처리하지 않고, 몇 가지 기능에만 특화하는 형태 입니다. 즉, 합의와 실행이 분리되어있죠.모듈형 블록체인의 정의모듈형 블록체인은 모놀리식 아키텍처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모듈형 블록체인은 블록체인의 다양한 구성 요소가 서로 다른 계층에서 작동하는 구조입니다. 주로 합의, 실행, 데이터 처리 등 다양한 계층별로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있죠. 각 모듈이 특정 기능을 독립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효율성과 확장성을 개선하는 더 나은 기반을 제공합니다.모듈형 블록체인의 등장이 근본적으로 추구하는 목표는 더 확장 가능하고, 효과.. 2024. 12. 9. 블록체인이 그리는 미래 : 인터넷도 처음엔 아무도 안썼다. 지난 글의 주제는 블록체인 대중화의 순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하지만, 블록체인으로 대중화가 되어야 하는 이유가 우선일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블록체인이 기존 시스템을 바꿔야 하는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중개자 없는 직접 거래의 시대블록체인의 가장 큰 특징은 중개자 없이 직접 거래가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해외 송금을 할 때 은행을 거치지 않고 직접 상대방에게 돈을 보낼 수 있습니다. 이는 수수료 절감과 함께 거래 시간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죠.또한, 부동산 거래나 주식 거래에서도 중개인 없이 직접 거래가 가능해집니다. 이는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고 거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투명성과 신뢰성의 보장블록체인에 한번 기록된 정보는 수정이나 삭제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이는 정보의 신.. 2024. 12. 7. 이전 1 2 3 4 5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