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주는 곰이, 돈은 소속사가 버는 시장
전통 컨텐츠 시장에서의 공식은 간단했습니다. 끼있는 사람들을 발굴하고, 그들을 키워 스타로 만들면, 제작사가 돈을 벌었죠. 당연한 공식이었습니다. 스타로 만드는 부분이 굉장히 어렵고, 많은 자본이 필요하며, 시간도 들기 때문이죠. 즉, 개천에서 용나기 위해서는 조력자가 당연히 필요했습니다.
재주는 곰이, 돈은 플랫폼이 버는 시장
인스타그램과 틱톡의 부상으로 공식이 조금 바뀌었습니다. 이번에는 소속사가 아니라, 컨텐츠를 중계해주는 플랫폼에서 쓸어갔죠. 인플루언서들이 얻는 부는 그들의 성과에 적은 부분입니다. 하지만 이 공식도 당연합니다. 플랫폼이 있어야 인플루언서가 있기 때문이죠. 내가 직접 홈페이지를 만들어서 영상을 올린다면 아무도 보지 않게 되겠죠.
제작사와 플랫폼의 경쟁
현재는 제작사와 플랫폼 모두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 즉, 이전처럼 독점이 어렵죠. 거기에 인플루언서들은 "자체 마켓"이나 "프리미엄 컨텐츠"등, 계속해서 플랫폼을 빠져나가서 수익을 보려고 합니다. 플랫폼에 하나 둘 씩 마켓이 들어오고, 유료 컨텐츠나 후원 등 새로운 이익 창출 방식이 등장하고 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죠.
돈도 재주를 부린 곰이 가져갈 미래
이렇게 플랫폼 혹은 제작사에 의존적인 환경을 만드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그들이 WEB2에 존재하기 때문인데요. 플랫폼은 인플루언서를 잡기 위해 그들의 팬에 대한 정보를 쉽게 제공하지 않고 숨깁니다. 잘 제공하면 언제 다른 플랫폼으로 이동하기 쉬워진다는 의미거든요.
하지만 우리는 지금 WEB2에서 WEB3로의 전환점에 있습니다. 아마도 시작지점이라 다수는 허무맹랑하게 받아들일 수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는, WEB3로 이전되면서 플랫폼의 힘이 약해지거나 사라질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이 만들어낸 수익을 온전히 받을 것으로 예상되죠
결론은 컨텐츠를 만들어라?
컨텐츠 제작자와 소비자, 그리고 조력자들 만이 남을 것입니다. 당연히 컨텐츠 제작자가 되는 것이 유리한 시장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다른 전략들이 남아있습니다.
(1) 넘치는 컨텐츠 속에서, 건강한 소비를 도와준다.
(2) 효율적인 컨텐츠 소비를 도와준다.
(3) 소비된 컨텐츠를 컨텐츠로 만들어준다.
(4) 컨텐츠 제작자의 팬 관리를 도와준다.
(5) 저평가된 컨텐츠 제작자의 성장을 돕는다.
(6) 소비자들의 새로운 취향을 찾아준다.
컨텐츠가 하나의 재화가 되고, 컨텐츠 제작자가 우위에 있는 시장이 되면, 많은 비즈니스들이 나올 것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가져야할 태도는 "컨텐츠를 만들어라!"가 아닌, "컨텐츠 소비에 대한 깊은 고찰을 하자"입니다.
그렇지만 제일 좋은 것은 컨텐츠를 만드는 것도 하는거겠죠. 그렇다면 이글을 추천합니다.
'Startup > Mark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롱테일 미디어가 뜨고 있다. (0) | 2024.06.13 |
---|---|
닷컴 버블 : 역사는 계속된다. (1) | 2024.06.06 |
유토피아를 찾는 스타트업들 - 국가의 단위는 점점 작아질 것이다. (1) | 2024.06.03 |
a16z 2024년 기술 아이디어 : 인프라 + 엔터프라이즈 (0) | 2024.02.03 |
a16z 2024년 기술 아이디어 : 성장 기술 (0) | 2024.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