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chnology/블록체인

비트코인 스테이킹 : 2,100만 개의 비트코인을 활용해지분증명 경제를 강화하다

by UG0 2025. 3. 7.

본 글은 DSRV의 Babylon BTC 스테이킹 문서 번역 본을 참고하였습니다.

지분증명(PoS)체인은 자본에 의해 보안이 유지되므로 비용이 비쌉니다. 즉, PoS 체인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절대적인 자본이 필요하죠.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로, 비트코인 자본력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비트코인은 6,000억 달러 규모이며, 대부분 유휴 상태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작업증명(PoW)인 비트코인을 어떻게 지분증명 체인으로 가져와서 스테이킹 할지에 대해 Babylon은 해결책을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연구에서는 비트코인 스테이킹을 통해, PoS체인 보안을 강화하고,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특히, BTC를 PoS체인으로 브릿징(Bridging)하지 않고도 신뢰할 수 있게 스테이킹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제시하죠. 또한 비트코인을 완전 슬래싱할 수 있게하여, PoS에 보안 보장을 고려합니다. 그리고, 모듈형 플러그인으로 만들어져 다양한 PoS 체인 위에서 작동할 수 있습니다. 참여자들에게는 빠른 스테이킹 언본딩 지원과 리스테이킹을 지원합니다. 

 

지분증명(Proof-of-Stake) 보안은 자본이 필요하다

최근 블록체인 산업은 PoW에서 PoS로 시빌 공격 저항(Sybil Resistance)매커니즘 트렌드가 전환되었습니다. 그 중 가장 핵심적인 이벤트는 이더리움의 PoW에서 PoS로의 전환인 "더 머지(The Merge)였죠.

PoW는 복잡한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채굴자(Miner)에 의해 보안이 유지됩니다. 반면, PoS는 블록체인 스테이킹(Staking)을 하는 검증자(Validator)에 의해 보호됩니다. PoS에서 검증자는 일정 금액을 스테이킹하는데, 프로토콜 규칙을 위반될 때, 슬래싱(Slashing)될 수 있는 보증금입니다. 이런 슬래싱(Slashing)기술은 PoW에는 없는 특징으로, 이더리움이 PoW에서 PoS로 전환되는 동기 중 하나죠.

스테이킹이 된 규모가 클 수록 보안은 더 강력해집니다. 하지만 이런 자본을 확보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특히나 작은 프로젝트들은 더 어렵죠. 높은 수익을 제공하여 자본을 유지시키기도 하지만, 이는 곧 높은 비용을 의미합니다. 비용이 높다는 것은, 보안과 유용성 간의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코스모스 SDK기반 AI 컴퓨팅 플랫폼을 운영하는 아카시(Akash)체인은 초반 인플레이션이 100%에 달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인플레이션 비율은 감소하하면, 위험으로 작용할 수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