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샤딩의 개념
샤딩(Sharding)은 블록체인의 확장성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를 여러 개의 작은 조각(샤드)으로 나누어 저장하는 기술이다. 각 샤드는 독립적으로 거래를 처리하고, 전체 네트워크의 부담을 줄인다.
2. 샤딩의 필요성
블록체인은 네트워크 참여자가 많아질수록 처리 속도가 느려지고 수수료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더리움 같은 퍼블릭 블록체인은 트랜잭션이 몰릴 경우 병목현상이 발생한다. 샤딩을 사용하면 노드마다 데이터 저장과 검증을 분산시켜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3. 샤딩의 작동 방식
샤딩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샤드로 나누고, 각 샤드가 개별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트랜잭션을 처리한다. 샤드들은 서로 정보를 주고받으며, 전체 네트워크의 일관성을 유지한다.
샤딩의 구성 요소
- 네트워크 샤딩: 네트워크 노드를 여러 그룹으로 나누어 분산 처리한다.
- 거래 샤딩: 특정 샤드에서만 트랜잭션을 처리하여 속도를 높인다.
- 상태 샤딩: 각 샤드가 전체 블록체인 상태의 일부만 저장하여 저장 공간을 최적화한다.
4. 샤딩의 장점과 단점
장점
- 트랜잭션 처리 속도가 증가한다.
- 네트워크 혼잡을 줄이고 가스비를 절감할 수 있다.
- 전체 블록체인을 저장할 필요가 없어 노드 운영 부담이 감소한다.
단점
- 샤드 간의 데이터 공유가 복잡할 수 있다.
- 특정 샤드가 공격받을 경우 전체 네트워크 보안이 약해질 수 있다.
- 구현이 복잡하고 기존 블록체인과의 호환성이 문제될 수 있다.
5. 결론
샤딩은 블록체인의 확장성을 해결하는 중요한 기술이다. 특히 이더리움 2.0에서 샤딩을 도입하여 성능을 대폭 향상할 계획이다. 하지만 보안성과 구현의 복잡성이 해결되어야 한다. 향후 블록체인 기술이 발전하면서 샤딩이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Technology > 블록체인 개념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zk-rollup(영지식 롤업)이란? (0) | 2025.03.15 |
---|---|
오프체인(Off Chain)이란? (0) | 2025.03.10 |
오라클(Oracle)이란? (0) | 2025.03.07 |
블록체인에서 사이드 체인이란? (0) | 2025.03.07 |
모듈형 블록체인(Modular Blockchain)이란? (1) | 2024.12.09 |